간이소화용구란? | 투척용 소화용구 vs 에어로졸식 소화용구 비교 | 팽창질석 소화용구
간이소화용구란?
소화기 및 자동소화장치를 제외한 소화능력단위 1단위 이하의 소화용구로서 화재발생 초기단계에서 사용하지 않으면 소화효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1회용으로 제작되는 보조 소화용구입니다. 간이소화용구의 종류에는 투척용 소화용구, 에어졸식 소화용구 및 소화약제외의 것을 이용한 간이소화용구로 구분됩니다.

투척용 소화용구
1) 구조 및 특성
용기(원통형 모양)는 경질유리 및 합성수지류로 화재지역에 투척시 쉽게 깨지도록 되어 있으며, 소화약제는 무기산염인 요소, 암모늄염, 알칼리금속염, 알칼리토금속염 등을 봉입하여 사용합니다.
투척용 소화용구의 단점은?
- 사용 범위 제한: 투척용 소화용구는 사용 가능한 거리가 제한되어 있어서, 특정 거리 이내의 불만 끌 수 있습니다.
- 조준의 어려움: 소화제가 목표를 놓치거나, 잘못된 영역으로 방출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습니다.
- 바람의 영향: 바람이 많은 경우, 소화제가 불에서 떨어져서 소화 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사용 시 상해 위험: 제품 고장이나, 적절한 교육이 없을 경우 사용 시 상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 높은 비용: 투척용 소화용구는 비용이 높아서 개인이나 소규모 조직에서 이용하기 어렵습니다.
2) 보수관리
가) 소화용구가 경질유리 및 합성수지류로 되어 있으므로 충격 파손에 주의하여 보관함 등에 보관합니다.
나) 직사광선이나 고온 다습한 장소를 피하여 보관합니다.
다) 소화약제의 변질 및 침전물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변질된 제품은 교체합니다.
에어졸식 소화용구
사람이 조작하여 압력에 의해 방사하는 기구로써 소화능력단위 수치가 1단위 미만이고, 소화약제 중량은 0.7㎏ 미만이며, 한 번 사용한 후에는 다시 사용할 수 없는 소화용구를 말합니다.
에어졸식 소화용구의 단점으로는 적절한 공기압이 유지되지 않은 경우, 압축기의 고장 또는 공기가 부족한 경우, 공기압이 낮은 경우에는 충분한 화재 소멸 효과를 얻지 못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에어졸의 제어가 까다로운 경우, 적절한 에어졸의 사용이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단점들을 감안하여 적절한 소화용구를 선택하고, 소화용구의 적절한 사용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1) 구조 및 특성
에어졸식간이소화용구는 보호카바 및 안전핀을 제거한 후 누름핀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약제방출관(싸이폰관)을 통화여 노즐을 거쳐 소화약제가 방출되는 구조입니다. 소화약제는 주로 할론 1211을 사용하며 분말(ABC, BC), 강화액 및 침윤제 등의 소화약제를 사용한다.
2) 보수관리
가) 직사광선이나 고온다습한 장소를 피하여 보관한다.
나) 총중량 및 기밀누설여부를 정기적으로 확인한다.
다) 용기본체의 부식 및 방청유무, 지지장치의 변형 및 파손유무를 확인한다.
소화약제외의 것을 이용한 간이소화용구
팽창질석(蛭石)
팽창 질석의 화학 성분 | |||||||||
종류 | SiO2 | Al2O3 | MgO | Fe2O3 | CaO | K2O | TiO2 | H2O | 기타 |
% 3 | 6-46 | 6-16 | 16-35 | 6-13 | 1-5 | 1-6 | 1-3 | 8-16 | 0.2-1.2 |
알루미늄 ·마그네슘 ·철의 수산화규산염으로 된 점토광물입니다. 회백색 또는 갈색이며, 진주광택이 납니다. 산(酸)에 쉽게 분해되고, 양이온 교환능력이 큽니다. 가열하면 팽창합니다. 사문암 지대에서 산출됩니다. 공질(多孔質)이며, 흡수능력이 좋아서 내열재료 및 방음재(防音材)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명칭은 가열했을 때 지렁이와 비슷하여 지렁이를 뜻하는 라틴어 ‘vermiculare’에서 유래하였습니다.
팽창 질석의 물리적 성질 | |||||||||
종류 | 밀도 (㎏/㎥) | 수분 손실 (110도) | 산도 | 인화성 | 하소 온도 (°C) | 용융점 (°C) | 이온교환 능(g/meq) | 비열 (kJ/㎏K) | 含水能 |
값 | 64-160 | 4-10% | 6-9 | 없음 | 1150 -1250 | 1200 -1320 | 50-150 | 0.84-1.0 8 | 220-325 wt. % 20-50 vol. % |
※ 하소(calcine , 煆燒)
어떤 물질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그 휘발성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는 조작
질석은 천연상태에서 운모와 비슷한 외관을 지닌 편상 함수 망강철-알미늄-규산염 광물에 대한 총칭적인 이름으로, 가열하면 팽창되는 성질을 이용해 산업적으로는 여러 분야에 쓰입니다. (900 ∼ 1 000) ℃로 가열하면 층 사이에 있던 수분이 증기로 변하며 격자층이 부풀어 오르거나 벌레 모양으로 분리됩니다. 영어명 vermiculite는 라틴어의 vermiculae가 벌레를
사육한다라는 의미를 지닌 것에서 지어진 것입니다. 부피는 상업적인 품질 경우 8-20배 증가하나 개별 편들은 최대 30배까지도 늘어날 수 있습니다. 팽창시킬 경우 저밀도에 최적의 절연 성질을 지니며 흡수력과 이온교환 능력도 좋습니다. 또한 화학적으로는 독성이 없으며 안정되어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