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균이란? | 항균성능의 인정기준 | 한국소비자원의 항균 의류기능성 시험 결과


1. 에프엘코리아, 유니클로 주식회사는?


에프알엘코리아(Fast Retailing Lotte Korea) 주식회사는 주식회사 유니클로와 '유니클로(UNIQLO)' 상표에 대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여 한국에 서 유니클로 브랜드의 의류를 판매하는 사업자입니다. 유니클로는 일본에 본점을 둔 회사로서 패스트리테일링(Fast Ratailing)으로부터 유니클로 브랜드에 대한 지식재산권(상표권, 디자인 등)을 부여받아 판매법인과 지식재산권 사용에 대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여 국제적인 의류 판매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패스트리테일링은 유니클로의 지분을 100% 보유한 모회사입니다.



에프알엘코리아 일반현황

(2021. 8. 31. 기준, 백만 원, 명, 개)

회사설립일 자산총액 매출액 당기순이익 상시 종업원수 매장수
2019년 2020년 2021년
2004. 12. 16. 652,878 582,411 163,271 △99,437 47,348 2,756 134


유니클로 일반현황

(2021. 8. 31. 기준, 백만 엔, 명)

회사설립일 자산총액 매출액 당기순이익 상시 종업원수
2019년 2020년 2021년
1974. 9. 2. 662,405 842,628 72,578 73,051 86,972 13,472






2. 내의(이너웨어) 시장현황 및 실태


의류는 용도에 따라 남성․여성 정장, 캐주얼복, 스포츠복, 내의, 아동복 등으로 구분됩니다. 국내 의류시장의 총 규모는 2020년 기준 총 31조 1,540억 원으로 추산됩니다. 2020년도 매출액 기준 시장점유율 상위 5개 업체를 살펴보면, 삼성물산(제일모직부문), LF, 신세계인터내셔날, 한섬, 이랜드월드 등입니다. 그 중 국내 내의 시장의 규모는 아래과 같이 약 2조 1,076억 원으로 추산되며, 국내 의류시장에서 약 6.7%의 비중을 차지합니다.




의류종류별 시장규모 및 연도별 변동추이 (단위 : 억 원)

구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남성정장 45,816 42,628 42,013 40,582 38,810
여성정장 37,705 32,010 34,419 29,753 26,677
캐주얼복 145,202 150,743 153,859 156,054 156,056
스포츠복 75,208 71,122 74,722 66,544 59,801
내의 24,258 21,437 22,070 21,074 21,076
아동복 13,087 12,346 12,206 10,659 9,120
합계 341,276 330,286 339,289 324,666 311,540



2020년 하반기 소비자의 각 브랜드별 구매율을 조사한 결과, 소비자가 가장 많이 구매한 브랜드는 BYC로서 28.1%의 소비자(남성 47.8%, 여성 17.7%)가 구매하 였으며, 유니클로 브랜드의 경우 3.4%(남성 5.3%, 여성 2.3%)의 소비자가 구매하여 전체 브랜드 중 8위(남성 5위, 여성 11위)를 차지하였습니다.




2020년 하반기 국내에서 판매된 브랜드별 구매율 현황입니다.

국내 내의 브랜드별 구매율 현황(2020년 하반기) (단위 : %, 복수측정)


남성 여성
순위 브랜드명 구매율 순위 브랜드명 구매율
1BYC 47.81 비너스 21.0
2보디가드 17.7 2 비비안 18.8
3트라이 15.0 3 BYC 17.7
4캘빈클라인 6.7 4 트라이 7.0
5유니클로 5.3 5 쌍방울 5.8
6아디다스 4.7 6 와코루 4.0
7쌍방울 4.4 7 엘르 3.2
8좋은사람들 3.7 8 휠라 2.5
9휠라 1.2 9 보디가드 2.3
10라쉬반 1.2 10 원더브라 2.3
11트라이엄프 1.2 11 유니클로 2.3
12태창 1.2 12 캘빈클라인 2.0
13엘르 1.1 13 솔브 1.7
14라코스테 0.7 14 트라이엄프 1.3
15게스 0.6 15 에블린 1.3



한편, 내의 유통채널은 브랜드매장, 인터넷/모바일, 할인마트, TV홈쇼핑 등이 있으며, 이 중 브랜드 매장을 통한 구매가 26.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습니다.




유통채널별 판매 비중 (단위 : %)

브랜드 매장 인터넷 마트 전통 시장 아울렛 백화점 홈쇼핑 복합 쇼핑몰 브랜드 멀티샵 보세점
26.1 20.9 17.1 9.5 8.4 8.2 7.1 4.4 0.7 0.4

소비자가 내의를 구매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는 남성과 여성 모두 착용감이었습니다. 그 다음으로 남성은 품질, 소재, 관리편리성, 기능성, 가격, 디자인, 색상 등의 순이였고, 여성은 품질, 소재, 관리편리성, 가격, 기능성, 디자인, 색상의 순이었습니다.




내의제품 구입결정지수 (단위 : P, 100점 만점)

구분 착용감 품질 소재 관리 기능성 가격 디자인 색상 브랜드
남성 80.1 77.6 76.3 76.0 73.9 73.6 68.7 67.0 63.4
여성 81.5 78.0 77.9 76.7 73.4 73.6 70.4 70.1 66.4






3. 항균이란?


항균의 정의

항균의 개념은 멸균이나 살균과 같이 세균을 사멸시키는 것과는 구분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상품화된 항균제품에서 '항균'의 의미는 '제품 표면에서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항균제품에 항균성능이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방법은 세균의 증식 이 항균처리 되지 않은 일반제품에 비해 어느 정도 억제되는지를 시험해 보는 것입니다. 즉 투입된 세균의 수가 시간이 경과해도 전혀 증가하지 않았다면 세균수가 감소하지 않더라도 완전한 항균성능을 인정할 수 있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이와 같은 항균성능 평가를 위한 표준화된 시험방법을 국가표준인 한국산업표준(KS, Korean industrial Standards)을 통해 규정하고 있습니다.


'텍스타일 재료의 항균성 시험방법'(KS K 0693).

이 시험방법은 항균처리된 제품과 일반제품에 각각 동일하게 세균(황색포도상 구균 및 폐렴균)을 접종하고 일정시간을 배양한 다음, 각 제품에서 증식된 세균수를 비교하여 항균처리된 제품이 일반제품에 비해 세균의 증가수를 얼마나 억제하였는지를 비교평가하는 것입니다. 억제된 값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정균감소율이라고 합니다.

정균감소율 = (일반제품 배양 후 생균수-항균제품 배양 후 생균수)/일반제품 배양 후 생균수×100







4. 항균성능의 인정기준

우리나라는 KS에 항균성 시험방법을 규정해 두고는 있지만 항균성능을 인정해 주는 기준을 두고 있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정균감소율이 어느 정도 되어야 항균성능을 인정할 수 있을지에 대한 판단이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다만, 일본의 경우 이러한 기준을 가지고 있는데, 일본의 국가표준인 JIS(Japanese Industrial Standards)는 우리나라의 정균감소율과 유사한 항균활성치 라는 개념을 두고 있습니다. 항균활성치가 2.0 이상일 경우 '항균'성능이 있는 것으로 인정하고 있다. 'Textiles-Determin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y and efficacy of textile product'(JIS L 1902)


그리고 일본 섬유평가기술협의회의 SEK 마크 섬유제품 인증기준에서는 항균활 성치가 2.2 이상일 경우에는 '항균방취' 9)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한다. 즉 항균활성치 2.2 이상의 항균성능이 있으면 세균증식을 억제하여 악취를 방지하는 '방취'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고 인정되는 것입니다. 의류의 불쾌한 냄새는 땀이나 피지를 영양으로 하는 피부 상주균(황색포도상구균 등)이 증식하여 발생 하는데, 피부상주균이 땀과 피지에 포함된 아미노산과 지질, 단백질을 분해할 때 냄새가 발생한다. 따 라서 냄새의 원인이 되는 피부 상주균의 증식을 억제하면 방취효과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JIS의 항균활성치는 KS의 정균감소율과 마찬가지로 항균제품이 일반제품에 비해 세균의 증식을 얼마나 억제하는지 비교평가하는 시험방법입니다. 다만 세균수를 log값으로 나타낸다는 점에서 백분율인 정균감소율과 차이가 있으나 그 원리와 시험 방법에 있어서는 유사합니다. JIS가 항균 성능을 인정하는 기준인 항균활성치 2.0은 정균감소율 99.0%로 환산하여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일본섬유평가기술협의회가 항균방취 성능을 인정하는 기준인 항균활성치 2.2는 정균감소율 99.3%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한국과 일본에서 표준으로 사용하는 항균시험법은 KS K 0693과 JIS L 1902 입니다. 이 시험법들은 시료에 균을 접종시키는 방식(균액흡수법)이라는 점에서 사실상 동일한 시험방법입니다. 항균섬유의 경우 흡수된 균이 섬유에 처리된 항균제와 접촉하여 증식이 억제되지만, 일반천은 그렇지 않으므로 그 차이를 보고 항균성능을 평가합니다.


보통 항균시험을 할 때 미생물 농도가 10^5 이상에서 수행을 하기 때문에 항균 처리시 10^4로 줄면 1 log 감소(10^1에 상용로그를 취한 것)로 90% 감소, 10^3으로 줄면 2 log 감소로 99% 감소, 10^2으로 줄면 3 log 감소로 99.9% 감소 등과 같이 표현하게 됩니다.정균활성치 2.0은 2 log가 감소하였다는 의미이므 로 정균감소율로 표현하면 99.0%가 됩니다.


한편, 우리나라는 일본처럼 국가표준으로 항균성능을 인정하는 제도는 없습니다. 단체표준이나 민간 시험검사기관에서 운용하는 항균성 인증기준 등 관련 산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항균성 기준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산업표준화법 제27조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사업자단체가 특정의 전문분야에 적용되는 기호, 용어, 성능, 절차, 방법, 기술 등에 대해 제정한 표준을 말합니다. 한국산업표준(KS)이 규정하지 않는 부분을 보완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특정제품의 항균성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이러한 민간의 기준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한국공기청정기협회는 2002년부터 공기청정기 항균 필터에 대한 단체표준을 제정하여 운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항균성능에 대한 표준은 이 단체표준이 유일합니다.


이 단체표준은 산업표준화법 제 27조의 규정에 따라 학계 및 관련 산업계의 전문가로 구성된 단체표준 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제정된 것입니다. 한국공기청정기협회는 항균필터에 대한 품질향상과 소비자 신뢰성 확보를 위해 기준을 99%로 강화 하는 개정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이 단체표준은 KS와 마찬가지로 항균성능 시험의 결과값을 정균감소율로 나타내며, 정균감소율이 95%이상 되면 항균능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8.2.3. 항균능력의 합격기준은 시험시작 후 48시간 이내에 비항균필터 대비 항균필터에서의 세균감 소율이 95% 이상 되면 항균능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합니다.


다음으로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공인시험검사기관인 FITI시험연구원은 항균 효과성을 보증하는 자체적인 인증기준인 SF(Sanitary Finished) 인증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르면 KS(KS K 0693)에 따라 시험할 경우 세탁 전 및 규정된 세탁 (의류의 경우 10회) 처리 후 정균감소율이 99.0% 이상 되어야 항균성능이 인정됩니다. 항균제품을 제조․판매하는 일반적인 사업자들은 자사 제품의 항균성 시험을 FITI시험연구원에 의뢰할 때 대부분 정균감소율 99.9%를 목표로 해당 감소율에 도달 할 때까지 제품의 항균성을 제고시키고자 합니다.


이상을 종합하면 국내 산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항균성능의 기준은 적어도 정균감소율이 95% 이상이어야 하고, 이러한 수치는 세탁 후에도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 항균의류 시장현황

항균의류 시장에 특화된 공식적인 조사나 연구가 없어 시장규모와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기는 곤란합니다. 다만 민간 시장조사기관의 조사에 따르면 항균소재시장 (항균섬유 포함)의 전 세계 시장규모는 2018년 기준 대략 296억 달러로 추산되며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으로 2023년에는 약 431억 달러로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내 패션 의류시장의 경우, 코로나 시대 장기화에 따라 다양한 섬유패션 기업에서 항균성능이 있는 섬유·의류제품을 출시하여 경쟁하고 있으며, 자사제품의 항균성능에 대한 광고도 활발한 편입니다.







6. 한국소비자원의 의류기능성 시험


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서 항균성이 있다고 표시․광고한 기능성 이너웨어 2개 제품에 대해 항균성능 시험을 실시하여 2020. 7. 16. 그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유니클로 에어리즘크루넥T(371-423524)와 탑텐 크루넥반팔(MSA2US1201A)제품입니다. 이 시험은 한국소비자원이 KOTITI시험연구원, FITI시험연구원, 한국의류시험연구원 (KATRI) 등 3개 공인시험기관에 의뢰하여 이루어졌습니다.


이 시험결과에 따르면, 항균성 시험대상이 된 2개 제품 중 '에어리 즘 크루넥T'의 경우 개별 제품에 따라 성능차이가 크고, 세탁 후 항균성능이 크게 감소하는 경우가 많아 균일한 항균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출처 공정거래위원회 의결서 사 건 번 호 2020안정1382












댓글

가장 많이 찾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