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내소화전 기동방식 | 수동기동과 자동기동방식 차이는? | 수동기동의 단점
옥내소화전이란?
옥내소화전은 건축물 안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발생 초기에 신속하게 불을 끌 수 있도록 설치하는 소화설비입니다. 소화전 밸브를 열면 물이 나오며, 소화전까지 배관안에 항상 물이 들어 있는 자동작동방식과 소화전함의 수동스위치에 의해 작동하는 수동작동방식이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설비는 자동작동방식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수동기동과 자동기동의 차이는?
옥내소화전설비의 가압송수장치입니다. 전동기 또는 내연기관에 따른 펌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자동기동 방식과 수동기동 방식 두 가지로 나뉩니다.
「NFSC 102」 제9조제2항제2호에서 "각 펌프를 자동 및 수동으로 작동시키거나 중단시킬 수 있어야 할 것"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각 펌프는 주펌프, 충압펌프, 예비펌프 등 모든 소방펌프가 포함됩니다.
자동방식
자동기동 방식은 사람이 직접 펌프가 기동하도록 조작을 하지 않아도 기동용수압개폐장치가 배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기동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수동방식
자동기동 방식이 원칙이고 이상적인 방식입니다. 다만 학교·공장·창고처럼 하나의 부지에 여러 동이 건축되어 있어서, 노출배관으로 설치되거나 배관의 보온 조치가 곤란할 경우 배관을 습식으로 운영하기 곤란한 상황에서는 수동기동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수동장식의 단점
옥내소화전 기동방식을 수동으로 하는 것은 동파우려가 있습니다. 따라서 일정시간 사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학교, 공장, 창고 등에 적용합니다.
여기서 옥상수조가 있다면 이는 배관이 습식이 되어 수동기동의 의미가 없습니다. 그래서 옥상수조를 제외하고 있습니다.
수동기동 방식은 충압펌프가 필요 없습니다. 더불어 기동용수압개폐장치인 압력챔버도 없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