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전에 의한 인체상해 발생의 경우 | 감전사고의 응급조치 방법

감전에 의한 인체상해


 감전에 의한 사망의 대부분은 감전사고 발생 직후에 사망하는 것입니다. 이는 충전 부에 손이 접촉되어 흐르는 전류가 심장을 관통하여 생기는 경우가 많으며 사인의 대부분은 심실 세동에 의한 것입니다.

감전이 되었을 경우 심장의 근육은 경련을 일으키며 펌프작용을 정상적으로 하지 못하게 되어 혈액순환이 정지되므로 호흡도 멈추게 되어 사망하게 됩니다.

심장과 호흡작용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감전에 따른 의식 불명 시는 즉시 응급처치를 하여야 하며, 구급법으로서는 심장마사지와 인공호흡법 등이 있습니다.



전격이란?

전격이란 인체를 통하여 전기가 흘렀을 때 일어나는 생리적 현상을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그 결과 사망하거나 중경상을 입게 됩니다.

특히 전격으로 인한 인체상해는 신체에 전류가 흘러서 직접 생리적으로 손상되는 경우와 전격으로 인하여 정신적 신체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를 초래하여 발생하는 2차적인 재해 즉 추락이나 오조작 등으로 발생하는 상해가 있습니다.



전격으로 신체에 직접상해를 받는 경우

 쇼크 및 의식불명

신체에 통전된 전류가 경미한 경우 신체적으로 통증을 수반한 쇼크로 인하여 불안전한 신체상태나 의식불명등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직접 생체적인 상해는 동반하지 않지만 불안전한 신체 행동이나 의식불명으로 중대한 2차재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격사망

신체에 전류가 통전되어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전류가 심장부를 흐른결과 정상적인 맥박이 지속되지 못하는 심실세동, 호흡신경의 마비에 의한 호흡기능의 상실,흉부를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흉부의 압박으로 질식되어 사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저전압으로 장시간 통전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화 상

고전압에 의하여 전격을 받는 경우로서 인체가 전로에 접촉되어 발생된 아크열로 인한 피부의 손상과 신체를 통하여 대전류가 흐르게 되고 생체표면과 내부적으로 통전된 경로를 통하여 세포가 주울열에 의한 괘사현상이 나타납니다. 이 경우 전원측은 대부분 고속으로 차단되는 것을 전제로 하나 고압이상의 선로가 차단되지 않는 경우 중화상으로 사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격으로 2차적인 상해를 받는 경우

불안전한 행동

위험물의 취급작업이나 프레스,전기톱 등과 같은 기기를 취급하는 경우 전격이 발생되면 작업자가 쇼크로 인하여 불안전한 행위를 하게 됩니다. 이로 인하여 치명적인 신체상해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즉, 위험물의 비산, 프레스기에 압착 등으로 신체 일부에 치명적인 상해가 발생됩니다.


 추락

주로 송배전선로 지지물이나 고소 작업시 발생하는 사고로서 전격으로 인한 쇼크나 의식불명으로 인하여 고소에서 지표상으로 추락함으로서 뇌출혈,골절 등의 중대상해를 입게 됩니다. 전격으로 인한 직접적인 상해가 경미한 경우에도 중대한 신체적 상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감전사고의 응급조치

감전쇼크에 의하여 호흡이 정지되었을 경우 혈액중의 산소함유량이 약 1분 이내에 감소하기 시작하여 산소결핍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그러므로 단시간 내에 인공호흡 등 응급조치를 실시할 경우 감전재해자의 95% 이상을 소생시킬 수 있습니다.



구강 대 구강 법(입맞추기 법)

1 피해자의 입으로부터 오물,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 평평한 바닥에 반듯하게 눕힙니다.

2 왼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입을 열고 오른손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코를 쥐고 피해자의 입에 처치자의 입을 밀착시켜서 숨을 불어넣습니다.

3 사정에 따라 손수건을 사용하되 종이수건의 사용은 금합니다.

4 처음 4회는 신속하고 강하게 불어넣어 폐가 완전히 수축되지 않도록 합니다.

5 사고자의 흉부가 팽창된 것을 확인하고 입을 뗍니다.

6 정상적인 호흡간격인 5초 간격으로(1분에 12~15회) 위와 같은 동작을 반복합니다.


이 구강 대 구강 법 처치시 주의사항

구강 대 구강 법은 모든 사람이 행할 수 있으므로 환자를 발견하면 그곳에서 곧바로 실시해야 합니다.

우선 인공호흡을 실시하고 다른 사람은 구급차나 의사를 부릅니다.

추락 등에 의해 출혈이 심한 경우 지혈을 한 후 인공호흡을 실시합니다.

구급차가 도착할 때까지 환자가 소생하지 않을 때는 구급차로 후송하면서 계속 인공호흡을 실시해야 합니다.



심장 마사지(인공호흡과 동시에 실시)

1 피해자를 딱딱하고 평평한 바닥에 눕힌다.

2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갈비뼈의 하단에서 3수지 위 부분에 놓고 다른 손을 그 위에 겹쳐 놓는다.

3 처치자의 체중을 이용하여 엄지손가락이 4[㎝]정도 들어가도록 강하게 누른 후 힘을 빼되 가슴에서 손을 떼지 말아야 한다.

4 심장마사지 15회 정도와 인공호흡 2회를 교대로 연속적으로 실시한다.

5 심장 마사지와 인공호흡을 2명이 분담하여 5:1의 비율로 실시한다.



전기화상 사고의 응급 조치

1 불이 붙은 곳은 물, 소화용 담요 등을 이용하여 소화하거나 급한 경우에는 피해자를 굴리면서 소화한다.

2 상처에 달라붙지 않은 의복은 모두 벗긴다.

3 화상부위를 세균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화상용 붕대를 감는다.

4 화상을 사지에만 입었을 경우 통증이 줄어들도록 약 10분간 화상 부위를 물 에 담그거나 물을 뿌릴 수도 있다.

5 상처 부위에 파우더, 향유, 기름 등을 발라서는 안 된다.

6 진정, 진통제는 의사의 처방에 의하지 않고는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7 의식을 잃은 환자에게는 물이나 차를 조금씩 먹이되 알코올은 삼가해야 하며 구토증 환자에게는 물, 차 등의 취식을 금해야 한다.

8 피해자를 담요 등으로 감싸되 상처 부위가 닿지 않도록 한다.










댓글

가장 많이 찾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