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패턴의 종류, 형성원리 정리 | 화재패턴으로 발화지점 판정 방법 설명

 


화재패턴(pattern)의 종류


화재패턴을 분석하여 화재가 지나간 경로를 역 추적, 발화지역-발화장소-발화지점-발화부위-발화원 순으로 좁혀 발화원인을 결정하는 중요한 도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건축물에서 발생한 화재현장의 경우 대부분 상부에 있던 가연물은 대류·복사 등의 화염에 의해 소실되어 그 흔적을 식별 하기 어렵습니다.


바닥재의 경우에는 화재발생 이후 상승 연소하는 화염에 의해 가연물이 불에 타서 떨어져 질식소화 되는 경우가 많기때문에 식별이 보다 용이합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비교적 초기의 연소패턴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바닥에서 나타나는 흔적(Floor Patterns) 등을 비교·검토하여 연소의 촉매제로 사용된 물질의 종류를 추론(推論)함으로써 초기에 진행되는 화재원인조사에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역삼각형(▽) 패턴 

화염, 연기 등이 위로 갈수록 넓어지는 전형적인 연소 형태, 주로 벽면과 출입문 등에 나타나는 연소 흔적.





2 삼각형(△) 패턴 

화재 초기 단계에서 화재가 진화 된 경우 국부적으로 나타나는 △형 모양의 연소 흔적.





3 고온가스층에 의해 생성된 패턴

플래시오버 바로 직전에 복사열에 의해 가연물의 표면이 손상을 받았을 때 나타나는 패턴입니다.


완전히 화재로 뒤덮이면 바닥도 복사열로 인해 손상받지만 소파, 책상 등 물체에 가려진 하단부는 보호구역으로 남습니다.


이 패턴은 가스층의 높이와 이동방향을 나타내며, 복사열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역을 제외하면 손상 정도는 일반적으로 균일하게 나타납니다.


플래시오버 직전에 나타나며, 고온가스 의 상승과 동반된 화염으로, 윗부분과 아랫부분으로 나누어져서 경계가 뚜렷한 연소 흔적입니다.






4 완전연소 패턴

화재가 최성기에 이르러 구조물 등이 완전히 소실된 형태입니다.


훈소화재 단계에서 그을음이 불연성 표면에 나타나는 현상이며 생성물로 까맣게 된 지역 근처에 깨끗한 지역을 생성합니다.





5 폴 다운 패턴(Fall down pattern)

폴 또는 드롭다운 패턴은 발화 구획실의 벽에 설치된 커튼 등 장식물이 화염에 노출되어 연소되면서 바닥에 떨어질 때 형성되는 패턴입니다. 방화 의심 화재로 혼돈될 수 있습니다.


화재 시 고온으로 되어 있는 천장 등이 착화되고, 착화물이 바닥에 떨어져 바닥의 미연소 부분이 연소된 흔적입니다.





6 드롭 다운 패턴(Drop down pattern) 

복사열 등의 영향으로 화염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가연물이 착화되고, 착화물이 바닥에 떨어져 바닥의 미연소 부분이 연소 된 흔적.





7 열 그림자 패턴(Heat shadowing pattern) 

화염이 장애물에 막혀 연소되 지 않은 부분이 그림자 모양처럼 남아 있는 흔적입니다.


열그림자는 발화 구획실세 테이블, 의자, 유리 등 장애물에 의하여 가연물까지 복사열 및 대류열의 이동, 화염접촉을 차단하여 발생하는 패턴입니다.





8 포어 패턴(Pour pattern)

인화성 액체가연물이 바닥에 쏟아졌을 때 액체가연물이 쏟아진 부분과 쏟아지지 않은 부분의 탄화경계 흔적이 나타납니다. 


액체가연물이 바닥에 쏟아져 연소 될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연소가 강한 액체가연물 부분과 다른 부분의 경계가 뚜렷한 흔 적입니다.


인화성 액체가연물이 바닥으로 쏟아졌을 때 액체가연물이 쏟아진 부분과 쏟아지지 않은 부분의 탄화경계 흔적을 말하고 이런 형태는 화재가 진행되면서 가연성 액체가 있는 곳은 다른 곳보다 연소가 강하기 때 문에 탄화 정도의 차이로 구분되는 연소 형태입니다.





9 스플래쉬 패턴(Splash pattern) 


가연성 액체가 쏟아지면서 주변으로 튀거나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스스로 가열되어 액면에서 끓으면 주변으로 튄 액체가 포어패턴의 미연성 부분에서 국부적으로 점처럼 연소된 화재형태입니다.


액체가연물이 연소되면서 주변으로 튀어 미연소 부분이 부분적으로 연소되어 나타난 흔적입니다.





10 고스트 마크 패턴(Ghost mark pattern)

액체가연물이 타일 바닥으로 스며들어 접착제 등과 연소하며 타일 바닥에 남긴 흔적으로 타일이 떨어져 나간 부분의 바닥에 그 흔적이 뚜렷합니다.


콘크리트, 시멘트 바닥에 비닐타일 등이 접착제로 부착되어 있을 때 그 위로 석유류의 액체가연물이 쏟아져 화재가 발생하면 열과 솔벤트 성분은 타일의 가장자리 부분에서부터 타일을 박리시키고, 이때 액체가연 물은 타일 사이로 스며들며 부분적으로 접착제를 용해합니다.


화재가 발생한 방이나 실에 화염에 의한 열기 가 가득하게 되면 액체가연물과 접착제의 화합물은 타일의 틈새에서 더욱 격렬하게 연소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타일 아래의 바닥에는 타일 등 바닥재의 틈새모양으로 변색이 되고 종종 박리되기도 합니다. 이때 바닥에서 보이는 흔적을 고스트마크라고 한다.


다른 패턴과 달리 플래시오버 직전과 같은 강력한 화재열기 속에서 발생합니다.





11 도넛 패턴(Doughnut pattern) 


가연성 액체가 웅덩이처럼 고여 있을 경우 발생하는데 주변이나 얕은 곳에서는 화염이 바닥이나 바닥재 를 연소시키는 반면에 비교적 깊은 중심부는 가연성 액체가 증발하면 기화열에 의하여 냉각시키는 현상 때 문에 발생하는 화재형태입니다.


가연성 액체가 웅덩이처럼 고여 있는 상태 에서 연소될 때 나타나는 흔적입니다.(가장자리 부분이 연소가 강하다)









1. 콘크리트 벽면 불기둥 화재 시 볼 수 있는 화재패턴은?

V패턴, U패턴, 기둥형 패턴, 포인트 또는 화살촉 패턴, 모래시계패턴, 원형 패턴




2. 인화성액체를 사용하여 방화한 현장에서 나타나는 화재패턴은?

도넛패턴, 스플래시패턴, 트레일러패턴, 틈새연소패턴, 포어패턴




3. 열 변형, 소실, 가연물의 퇴적 등 화재현장에 남겨진 화재패턴으로 발화지점을 판정하는 방법은?

① 접염비교법 ② 탄화심도 비교법 ③ 연소비교법 ④ 도괴방향법




4. 열 변형, 소실, 연소생성물의 퇴적 등에 의해 만들어지는 화재패턴의 형성 원리는?

① 연기 및 화염이 물체에 의해 차단되는 원리 ② 복사열의 차등 원리 : 열원으로부터 가까울수록 강해지고 멀어질수록 약해지는 원리 ③ 탄화 · 변색 · 침착 : 연기의 응축물 또는 탄화물의 침착 ④ 화염 및 고온가스의 상승 원리










댓글

가장 많이 찾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