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 공연, 콘서트 등 행사장 안전관리 점검리스트 정리




1. 행사 단계별 안전 관리 방법

행사의 시작 전, 행사 진행 중, 사고 발생 시, 행사 종료까지의 단계별로 구분하여 안전 관리 요령을 마련해야 합니다.  당계별로 행사 전반에 걸쳐 안전한 진행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관리하여야 합니다.

 

가. 행사 전

- 행사장의 소화시설 여부 확인, 안전요원 사전 교육을 실시합니다.

- 각종 전시품, 비품 배열 및 고정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무대 내 설치물의 추락 및 학생들의 운집으로 인한 높은 압력으로의 붕괴 가능성을 확인합니다.

- 행사인원에 비해 출입구 수가 적거나, 행사 진행을 위한 출입구가 있는 경우를 대비합니다.

- 공연 행사시 관중과 무대와의 거리, 장애물의 설치여부, 무대의 높이를 확인합니다.

- 공연 행사시 관중 출입구와 무대 출연자 출입구의 이원화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동일한 경우 출연자 이동시 안전 대책을 마련하여야 합니다.

 


나. 행사 진행 중

- 체험 활동행사의 경우, 활동 장소 사이 안전요원을 배치합니다.

- 무대 및 행사장 주변 안전 요원을 배치합니다.

- 공연행사의 경우, 무대와 관중석간에 안전 공간 확보 및 무대진출 차단시설물을 설치합니다.


 

다. 사고 발생 시 조치

- 화재발생 시 인근 소화기, 소화전 등으로 1차 진화하고 지원을 요청을 합니다.

- 사고현장주변의 행사 관계자가 확인하여 응급조치 및 신속한 지원을 요청합니다.

- 공연행사시 관람객의 동요 방지를 위한 질서유지 협조와 비상대피 요령 등 안내 방송을 실시합니다.


 

라. 행사 종료시

- 행사 관중 퇴장 시 다수 출입문 사용으로 분산 퇴장을 유도합니다.

- 행사 출연진의 안전한 퇴장을 위한 이동로를 확보합니다.


 








나. 안전관리 체크리스트



구분점검 내용
안전관리계획 적정성


'지역안전관리위원회' 운영실태- '지역안전관리위원회' 안전관리계획 심의 여부
- 지역안전관리자문단(분야별 전문가) 현장 합동점검 추진사항 등
안전관리계획
- 안전사고 대비 유형별 대처요령 수립
- 안전관리요원 사전 안전교육
- 관계기관 비상연락망 정비, 합동상황실 운영
- 안전관리책임자 실명 공개, 보험가입 등 
사고 발생 시 대응 방안 마련 여부(참고사항)- 유사시 관람객 대피 및 분산 대책
- 사고 발생 대비 복구 장비·자재 확보 방안
-대규모 피해 대비 지대본 가동 준비 현황
- 사고 발생 시 관련 언론 대응 대책 등
방역 분야관계기관(보건소·소방·경찰 등) 간 방역관리 협업체계 구축 
방역관리자 등 배치 여부 
출입명부 및 방역물품 등 비치 여부- 손소독제, 비접촉식 체온계, 열화상 카메라 등
생활 속 거리 두기 방역지침 준수 여부 등- 마스크 착용 및 2m(최소1미터) 이상 거리 두기
- 입장 정원 제한하기(단계별 지침에 따른 정원)
- 주기적으로 소독 및 환기하기(매일 2회 이상) - 한 칸 띄어 앉기 등
소방 분야구조·구급요원 및 장비의 현지지원에 따른 위치 및 범위 
소화기 등 소화시설 확보와 위험물질 및 화기관리 적정성 여부 
소화기 등 소화시설 확보와 위험물질 및 화기관리 적정성 여부 
비상구 유도등(시인성, 방해요소, 작동 여부 등) 
스프링클러, 방화셔터, 제연경계벽(설치 여부, 작동방해 등) 
옥내소화전 등 소방시설 주변 물건 적재상태 
비상구, 계단 등 비상통로 내 무분별 판매행위 및 물건적치 상태 
경보설비 임의차단 등 관리상태 
전기 분야전기실, EPS실, 분전반 앞 등 물건 적재 및 잠금상태 
누전차단기 사용 여부  
자판기 등 편의시설 전기기계기구 외함접지 
차단기와 전기배선의 상호용량에 맞게 설치·사용  
수전반, 전압계, 전력계의 동작 상태와 과부하·과전압 등 지시계기 정상작동 여부 
비상발전기 등 예비전원 확보 및 정상작동을 위한 주기적 무부하 시험운전 여부 
행사장 내 전선노출 여부 등 
승강기 분야집중 인파 대비 현장에 맞는 유도동선 확보 여부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및 콤(Comb) 의 상태 
에스컬레이터의 스텝과 스커트(측면 보호판) 사이 틈새 적정성 여부   
화재 등 비상시 승강기의 비상운전 작동상태 
승강기 내·외부 안전표지 부착 확인 등 
가스 분야가스용기 보관실 내 가연성 물질 적재 등 관리상태- 100kg 이상 용기 전도방지 및 차양시설
- 250kg(체적거래 시는 500kg) 이상 방호벽 설치
가스차단기, 경보기 등 임의차단 및 정상작동 여부  
고무호스에서 분기 등 가스기기 이용상태 
가스배관의 매설 및 고정상태  
가스보일러의 흡·배기구시설 관리상태- 보일러 배기통 폐가스 누설 여부 등
소화기 등 소화시설 확보와 위험물질 및 화기관리 적정성 여부  
이동식 부탄가스 사용 및 관리실태 
행사장 내 애드벌룬 설치 시 주입가스(헬륨가스) 확인 등(아세틸렌, 수소 사용 금지) 







댓글

가장 많이 찾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