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능시험배관과 유량계 | 물올림 장치, 물올림 탱크


 


성능시험배관 

정기적으로 펌프의 성능을 시험하여 펌프의 성능곡선의 불량 및 방사압과 토출량을 검사하기 위한 배관으로서 펌프의 토출측의 개폐밸브 이전에서 분기시키고, 관로에는 정격토출량의 175%를 측정할 수 있는 유량계를 설치한다.

성능시험배관의 관경은 정격토출압력의 65%이하에서 정격토출량의 150%이상을 토출할 수 있는 크기 이상으로 하도록 되어 있는데 정격토출압력은 당해 설비의 양정 계산시 총양정을 10:1로 환산한 압력(kg/㎠)이며 정격토출량은 당해 설비에 필요한 펌프의 분당토출량(ℓ/min)이다. 

주) 유량계는 일반적으로 로타미터(Rotameter)를 많이 사용하는데 유체속에 부자(Float)를 띄워 눈금으로 표시된 유량(lpm)을 직접 눈으로 읽을 수 있으며 압력손실이 적고 측정 범위가 넓은 장점이 있다. 

성능시험배관의 관경산출은 방수압과 방수량과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구한다.



상기식에서 배관경 D[m]를 구할수 있다.



 물올림장치(호수조, Priming Tank)

물올림장치는 수평회전축 펌프를 사용한 지하수조방식 즉, 수원의 수위가 펌프보다 아래에 있는 가압송수장치에 필요한 설비로 주기능은 펌프의 후트밸브 고장으로 펌프실 및 흡입관내의 물이 수조로 빠져 내려가면 펌프를 작동시켜도 물이 흡입되지 않으므로 이 경우에 펌프 케이싱에서 후트밸브까지 물을 공급하여 항상 펌프만 작동하면 물이 흡입될 수 있도록 대비시켜 주는 장치이다.

 물올림 탱크의 용량은 유효수량이 100ℓ이상의 전용으로 하되 구경 15mm이상의 급수배관에 의하여 당해 탱크에 물이 계속 보급되도록 볼텝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상수도 본관에서 분기배관 할 것) 주) 감수경보장치(저수위 경보장치) 물올림 탱크내의 물이 1/2이상 감수하였을 때 플로우트스위치 또는 전극봉에 의하여 신호를 발신하여 감시제어반 등에 표시등 및 부저등으로 음향경보하는 장치이다.







댓글

가장 많이 찾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