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방병 증상 알아보기, 냉방병인 경우 대처방법 | 여름은 더운게 정상

 


냉방병이란?

냉방병은 공기가 순환되지 않는 실내에서 냉방이 지속됐을 때 나타나는 이상 증상을 말합니다. 냉방병은 냉방 중인 사무실이나 집 등에서 오랜 시간 머물 때 나타나는 가벼운 감기, 두통, 근육통, 권태감, 소화불량 같은 임상 증상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입니다. 엄밀한 의미의 의학 용어는 아닙니다.

냉방병은 실내와 실외의 온도 차이 때문에 발생하게 됩니다. 실내외의 기온 차가 5~8도 이상이 넘어가게 되면 몸이 온도에 적응하지 못하게 되어 체온 조절에 실패합니다.

 

 

 

 

 

 

체온 조절 과정이 막히면 자체적으로 노폐물과 열기를 배출할 수 없게 돼 혈액순환을 어렵게 하고 자율 신경계에 변화가 생기는 등 이상 증세가 나타납니다. 또한, 차가운 바람이 지속적으로 유지가 되면 습도가 떨어지게 되기 때문에 호흡기 점막이 말라 호흡기 기능이 떨어지고 세균 감염이 취약하게 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냉방병 증상

흔히 '머리가 맑지 않고 감기기운이 있다'고 호소하지만 두통(32.3%) 이외에도 오한•발열 등의 전신 증상(29.7%), 기침 등의 호흡기 증상(14.4%), 소화 장애 등의 위장 증상(7.6%), 안구건조증(5.7%), 피부 트러블(3.0%) 등 거의 모든 신체기관의 증상을 호소합니다. 

 

냉방병은 시간이 좀 지나거나 증상을 완화하는 약물을 복용하면 대부분 나아집니다. 다만 에어컨 냉각수에 서식하는 '레지오넬라균'에 감염되면 위험한 상태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이런 세균성 냉방병은 폐렴으로 이어질 수 있고, 이는 특히 고령자에게 치명적입니다.  에어컨을 자주 이용한 사람이 열이 38도 이상으로 올라가고 가래와 기침까지 호소한다면 단순한 감기로 여기지 말고 의사를 찾아 전문적인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냉방병 대처방법

 

1. 냉방병의 증상이 나타날 시 에어컨 사용을 바로 중단합니다. 그리고 적절한 휴식을 취합니다. 냉방병의 증상은 대부분 냉방 환경을 개선하면 호전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불편하다면 각각의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약물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만약 증세가 심한 경우 콧물, 코막힘, 소화불량, 몸살 기운 등과 같은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병원에 방문해 진료를 받고 약물치료를 병행하여야 합니다.

 

3. 냉방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실내외 온도 차이를 5도 이상 나지 않게 유지합니다.  특히 실내 온도를 25도 이하로 낮추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온도의 변화에 대한 신체 조절 능력은 5℃ 내외입니다. 따라서 실내와 외부의 온도차를 5℃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아무리 더워도 온도 차이가 8℃를 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4. 에어컨 냉방을 할 시에는 처음에는 온도를 낮추었다가 점층적으로 올리는 방법이 좋습니다. 

5.  정기적으로 실내 환기를 시켜 새로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합니다. 냉방병의 예방책으로는 절대적인 냉방시간을 줄이고 에어컨은 가동 중 1시간에 한 번, 적어도 2~3 시간에 한번 정도는 창문을 열어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6. 차가운 바람이 직접 몸에 닿지 않게 실내에서는 긴 소매의 카디건이나 양말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7. 차가운 음식이나 음료보다는 따뜻한 물을 자주 마셔주어 체온을 유지해 주는 방법도 냉방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8. 냉방병은 몸의 면역력이 낮을 때 걸리기 쉬우므로, 정기적으로 가벼운 운동을 하고 과음 및 과로를 하지 않는 등 꾸준한 건강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9. 일반적으로 외부 온도가 23℃ 이하일 때는 1℃ 낮게, 26~27℃일 때는 2℃ 낮게, 28~29℃일 때는 3℃ 정도 낮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온이 30℃일 때는 4℃, 31~32℃일 때는 5℃, 33℃가 넘으면 6℃ 정도 낮추는 것이 적당합니다.

 



-

댓글

가장 많이 찾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