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자재 설명) 방화문 기준, 시험방법 | 방화문 품질인정제

 



방화 관련 주요 건축자재 설명



1.방화문이란?


"방화문"이란 화재의 확대, 연소를 방지하기 위해 방화구획의 개구부에 설치하는 문으로서 건축자재등 품질인정기관이 이 기준에 적합하다고 인정한 제품을 말합니다. 화재의 확대, 연소를 방지하기 위해 개구부에 설치하는 문을 말합니다.


* 갑종방화문은 차열(1시간) 및 비차열(30분이상) ․


사용장소는 아파트 대피공간, 방화벽의 개구부, 피난계단 출입구 등 입니다.


건축법 시행령
제64조(방화문의 구분) 
① 방화문은 다음 각 호와 같이 구분한다. 
1. 60분+ 방화문: 연기 및 불꽃을 차단할 수 있는 시간이 60분 이상이고, 열을 차단할 수 있는 시간이 30분 이상인 방화문 
2. 60분 방화문: 연기 및 불꽃을 차단할 수 있는 시간이 60분 이상인 방화문 
3. 30분 방화문: 연기 및 불꽃을 차단할 수 있는 시간이 30분 이상 60분 미만인 방화문 

② 제1항 각 호의 구분에 따른 방화문 인정 기준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한다.


방화문은 항상 닫혀있는 구조 또는 화재발생시 불꽃, 연기 및 열에 의해 자동으로 닫힐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합니다.






2. 차열과 비차열의 차이는?


<용어 정리>

1) 차열 : 열기 전파 차단 
2)  비차열(非遮熱) : 연기와 불꽃을 차단


방화문은 차열성 방화문과 비차열성 방화문으로 구분합니다.

차열성 방화문은 차염성, 차열성을 합격해야 하며, 비차열성 방화문은 차염성을 합격해야 합니다.









3. 방화문의 성능인정 기준


방화문의 성능 인정은 건축자재 등 품질인정기관인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이 실시하는 화재시 가열에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해 연기와 불꽃을 차단하는 비차열 1시간 이상의 내화성능을 확보하고, 열기 전파를 차단하는 차열 성능은 30분 이상으로 국토교통부 고시 건축자재 등 품질인정 및 관리기준(2022. 2.11.)에 적합해야 합니다. 


한 번 인정된 방화문의 인정 유효기간은 5년이며 원장은 적합하게 품질관리를 실시하고 있는지 제조현장을 사전 통보없이 점검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자동방화셔터 및 방화문의 기준
 제5조(성능기준) 
① 셔터(일체형 셔터를 포함한다)는 다음의 성능을 확보하여야 한다. 
1. KS F 2268-1(방화문의 내화시험방법)에 따른 내화시험 결과 비차열 1시간 성능 

2. KS F 4510(중량셔터)에서 규정한 차연성능 

3. KS F 4510(중량셔터)에서 규정한 개폐성능 

4. 일체형 셔터의 피난 출입문을 여는데 필요한 힘(바닥으로부터 86㎝에서 122㎝사이, 개폐부 끝단에서 10㎝이내에서 측정한다)은 문을 열 때 133N 이하, 완전 개방한 때 67N 이하 

② 방화문은 KS F 3109(문세트)에 따른 비틀림강도·연직하중강도·개폐력·개폐반복성 및 내충격성 외에 다음의 성능을 추가로 확보하여야 한다. 다만, 미닫이 방화문은 비틀림강도·연직하중강도 성능을 확보하지 않을 수 있다. 

1. KS F 2268-1(방화문의 내화시험방법)에 따른 내화시험 결과 건축물의피난·방화구조등의기준에관한규칙 제26조의 규정에 의한 비차열 또는 차열성능 

2. KS F 2846(방화문의 차연성시험방법)에 따른 차연성시험 결과 KS F 3109(문세트)에서 규정한 차연성능 

3. 방화문의 상부 또는 측면으로부터 50센티미터 이내에 설치되는 방화문인접창은 KS F 2845(유리 구획부분의 내화시험 방법)에 따라 시험한 결과 해당 비차열 성능 

4. 도어클로저가 부착된 상태에서 방화문을 작동하는데 필요한 힘은 문을 열 때 133N 이하, 완전 개방한 때 67N 이하 

③ 승강기문을 방화문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승강장에 면한 부분에 대하여 KS F 2268-1(방화문의 내화시험 방법)에 따라 시험한 결과 비차열 1시간 이상의 성능이 확보되어야 한다. 

④ 현관 등에 설치하는 디지털 도어록은 KS C 9806(디지털도어록)에 적합한 것으로서 화재시 대비방법 및 내화형 조건에 적합하여야 한다. 

⑤ 하향식 피난구는 다음 각 호의 성능을 확보하여야 한다. 

1. KS F 2257-1(건축부재의 내화시험방법-일반요구사항)에 적합한 수평가열로에서 시험한 결과 KS F 2268-1(방화문의 내화시험방법)에서 정한 비차열 1시간 이상의 내화성능이 있을 것 

2. 사다리는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7조에 따른 '피난사다리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의 재료기준 및 작동시험기준에 적합할 것 

3. 덮개는 장변 중앙부에 637N/0.2㎡의 등분포하중을 가했을 때 중앙부 처짐량이 15밀리미터 이하일 것 



방화문 재질은 철재, 목재, 유리 등 으로 구분됩니다.


형태적으로는 상시개방형(감지기에 의한 자동폐쇄), 상시폐쇄형(도어클로저에 의한 자기폐쇄) 두가지 형태로 구분됩니다.








4. 방화문 품질인정제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방화문 시장 규모는 2019년 기준 1조원 수준입니다. 방화문 업계에서는 당장 시장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향후 대규모 주택 공급 계획 등을 감안하면 성장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방화문이 안전과 직결된 산업입니다.





업계에서는 원가절감을 위해 사실상 방화문 역할을 하지 못하는 제품들이 유통되고 있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국토교통부가 실시한 건축 안전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시공 불량, 화재성능 미달, 단열재 정보 미표기 등에 따른 부적합률이 31.6%에 달하였습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이낳여 국토부는 방화문 품질인정제를 도입하기도 하였습니다. 제도 이후 시공되는 아파트는 모두 일정 수준 이상의 차연·차열 성능, 개폐성능 등을 충족한 방화문을 적용해야 합니다.










댓글

가장 많이 찾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