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액리놀레산 인체적용시험 결과 | 체지방량, BMI, 혈청 지질, 근력과 근육
공액리놀레산 인체적용시험 결과
○ BMI 25∼35 kg/m2 사이의 18세 남녀 60명을 중도탈락한 13명을 제외하고 대조군(8명)*과 시험군(39명)*으로 나누어 시험군에게 CLA 1일 1.7, 3.4, 5.1, 6.8g씩 12주간 섭취하도록 하였을 때 대조군과 비교하여 체중 및 BMI의 변화는군간유의적이지 않았고 체지방량은 1.7, 3.4 및 6.8g 섭취군에서 대조군 대비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섭취 전 대비 섭취 후에 혈중 콜레스테롤이 유의적으로감소함
* 대조군: 9 g 올리브유, 1일 3회, 1회 4정
시험군: 1.7 g/일(11명), 3.4 g/일(7명), 5.1 g/일(11명), 6.8 g/일(10명)
- CLA 보충이 과체중 및 비만인의 체지방량 감소 효과를 가짐
○ 20∼50세의 BMI 25∼30 kg/m2 사이 남녀를 중재시험 전 3주간 제한 열량식이를 하도록 한 뒤 4그룹으로 나누어 대조군으로 올레산 1.8, 3.6 g, 시험군으로CLA 1.8, 3.6 g을 13주간 섭취시켰을 때, 혈중지질, 혈당, 인슐린의 변화는관찰되지 않았으나 대조군 대비 체지방량이 감소하고 제지방량(fat-free mass)이증가함. CLA 섭취는 체중의 재증가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체지방 재증가는CLA 군(1.7g 섭취군: 6.2%, 3.6g 섭취군: 4.6%)에서 대조군(1.8g 올레산 :2.8%,
3.6g 올레산 3.4%)보다 증가하였음
- CLA 보충이 과체중 및 비만인의 체지방량 감소 효과를 가짐
○ 39∼64세 사이의 복부 비만 남성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대조군에 4.2 g/일 올리브유, 시험군에 4.2 g/일 CLA을 4주간 섭취시킨 결과, 복부 둘레는 대조군 대비유의적으로 감소 하였으며, 시상복부직경(SAD)* 제외한 대사 변수에서는 유의차없었음
* sagittal abdominal diameter (SAD) 설명 필요 :시상 복부 직경으로 내장지방 측정 척도- CLA 보충이 복부 지방을 감소시킬 수 있음
○ 23∼63세 건강한 성인을 대상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대조군에 4.2 g/일 올리브유, 시험군에 4.2 g/일 CLA을 12주간 섭취시킨 결과, 체중, BMI, 복부 둘레, 허리둘레, 허리-엉덩이둘레 비율, 혈중 지질 프로필, Apo A1, PAI-1은 유의적변화가 없었으나 체지방량, Apo B
*가 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했음
* Apo B: 지방단백질로 혈액 내에서 지방을 운반
- CLA 보충이 Apo B를 증가시킴으로 체지방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음
○ BMI 30 kg/m2의 19∼24세를 대상으로 4주 동안 0.7g의 CLA를, 다음 4주 동안은1.4g의 CLA를 섭취하도록 하고, 대조군은 시험군과 동량의 대두유를 위약으로 제공한결과, 체지방률, 체지방량, 피부(피하지방)두께가 섭취 4주 대비 섭취 8주에 CLA그룹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혈청 HDL-콜레스테롤이 섭취 4주 대비 섭취 8주에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TG 및 TC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 CLA 보충이 체지방 감소와 혈청 지질 조성을 변화시킬 수 있음
○ BMI 25∼30 kg/m2의 18∼65세를 대조군(59명)*, CLA-FFA(61명)군*, CLA-TG(60명)군*으로 나눠 총 24개월 동안 CLA를 보충시킨 결과, CLA-TG 그룹과CLA-FFA 그룹의 평균(+/- SD) 체지방량은 각각 8.7 ± 9.1% 및 6.9 ± 9.1%로대조군보다 낮았으며 BMI는 CLA-TG군에서 대조군 대비 유의적 감소 하였으나 CLA-FFA군에서는 유의적 변화없었고 CLA-FFA군은 대조군보다 제지방량이 1.8 ± 4.3%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 CLA-FFA군에서 LDL-C 증가, CLATG군에서 HDL-C 감소, 두 CLA 군에서 lipoprotein(a) 증가하였음
* 대조군: 4.5 g 올리브 유
CLA-FFA군: 4.5 g 80% CLA-FFA
CLA-TG군: 4.5 g 76% CLA-TG
- CLA-FFA 또는 CLA-TG를 장기간 보충하면 건강한 과체중 성인에서 체지방량이 감소할 수 있음
○ BMI 27∼35 kg/m2의 18∼50세를 대조군(41명)*, CLA-FFA(46명)군*, CLA-TG(47명)군*으로 나눠 24개월 동안 CLA를 보충시킨 결과, CLA-FFA 와 TG군의체중, BMI, 체지방량이 섭취 전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CLA-FFA군에서는TC가 CLA-TG군에서는 HDL-C가 섭취 전 대비 섭취 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 CLA-FFA 와 TG군의 Lp(a)가 섭취 전후 대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렙틴은 감소하였음* 대조군: 4.5 g 올리브 유
CLA-FFA군: 4.5 g 80% CLA-FFA
CLA-TG군: 4.5 g 76% CLA-T
- 과체중 성인에게 CLA-FFA 또는 CLA-TG를 장기간 보충 시 체지방량이 감소에 도움을줄 수 있음
○ BMI 25∼30 kg/m2의 18∼65세를 대조군*, CLA군*으로 나눠 12개월 동안 CLA를보충시킨 결과, TG를 제외한 혈중 지질 프로필과 인슐린 및 신체 구성에영향을 미치지 않음
* 대조군: 6 g 해바라기유
CLA군: 6 g CLA
- CLA 그룹과 위약 사이에 전체적으로 신체적인 유의미한 변화는 없음
○ 충분한 근력 트레이닝을 받은 22∼24세를 대조군*, 시험군*으로 나누어 28일간 CLA 6g을보충시켰을 때, 체중, 체지방률, 체지방량에 유의적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근력과근육의 바이오마커에 영향을 주지 않음
* 대조군: 9 g 올리브유
시험군: 3 g 지방산+6 g CLA
- 숙련된 저항 훈련을 받은 운동선수에게 CLA의 섭취는 근력과 근육 관련하여 유의미한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임
○ BMI 25 kg/m2 미만 18∼30세 20명을 대조군(10명)*, 시험군(10명)*으로 나누어 12주간위약과 CLA를 보충시킨 결과, 체지방은 시험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체중은유의차 발생하지 않음
* 대조군: 0.6 g 하이드로겔, 1일 3회 섭취
시험군: 0.6 g CLA, 1일 3회 섭취
- CLA가 체지방은 감소시켰으나 체중은 감소시키지 않음
○ BMI 27.5∼39kg/m2 미만 18세 이상 남녀 60명을 규정 미준수자를 제외하고 대조군(22명)*, 시험군(25명)*로 나누어 12주간 위약과 CLA를 보충시킨 결과, 체중과 BMI는섭취 전 대비 섭취 후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나, 이외 체지방량, 제지방량, 혈중TG, TC, HDL-C, LDL-C, lipoprotein a는 변화가 발생하지 않음
* 대조군: 4.5 g 올리브유
시험군: 3.4 g CLA
- CLA 보충으로 체중과 BMI가 감소함(그러나 전반적인 치료 효과는 크지 않음)
○ BMI 25∼30 kg/m2 20∼50세를 중도탈락한 6명을 제외하고 대조군(27명), 시험군(27명)으로 나누어 모든 피험자에게 3주간 초저칼로리 식단(VLCD 2.1 MJ/g)을 아침, 점심, 저녁으로 제공하고 이후 13주간 위약으로 올레산(1.8, 3.6 g), 시험군에 CLA(1.8, 3.6 g)를섭취시킨 결과, 1.8g 섭취군의 BMI, 체중, 체지방량 변화없음, 3.6g 섭취군의 BMI, 체중변화 없음, 체지방량 3.0% 감소하였으나 유의적 차이는 아님
- CLA 섭취로 체중과 체지방량 BMI 등에서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
○ BMI 25∼30 kg/m2 18∼44세 40명을 대조군(18명), 시험군(22명)으로 나누어 휴가기간동안 CLA 섭취와 체지방 감소를 평가하기 위하여 대조군에는 4 g의 홍화유를 시험군은3.2 g CLA를 휴가기간 전(8월-10월), 휴가기간(11월-12월) 및 휴가기간 후(1월-3월)동안섭취시킨 결과, CLA에 비해 대조군이 휴가기간에 더 큰 체중 증가율을 보이며 대조군내에서 휴가 전 기간(8월-10월)에 비해 휴가철 체중 변화가 유의하게 더 컸음. 6개월간의체중, 체지방은 CLA 그룹에서 대조군 대비 유의하게 감소했으며(-1.0+/-2.2 kg), 제지방량은 군간 유의차 없었음. CLA는 RMR, 신체활동 또는 식이 섭취에 영향을 미치지않음
- CLA 보충은 6개월 동안 체중, 체지방과 BMI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킴
○ BMI 30∼3 kg/m2 18∼50세 55명을 중도탈락한 6명을 제외하고 대조군(16명)*, 3.2 g CLA군(17명), 6.4 g CLA군(16명)으로 나눠 12주간 CLA를 보충시킨 결과, 체중, 체지방량, 호흡계수에서 유의차 발견되지 않았고 제지방량과 염증 관련 바이오마커인 C-RP, IL-6는 대조군 대비 증가하였음
* 8 g 홍화유
- CLA는 비만인의 제지방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염증 마커를 증가시킬 수도 있음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