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동영상(OTT) 서비스란? | OTT의 수익모델과 시장 현황 | OTT 서비스 사용자 수 및 이용경험율




1. OTT란?


OTT는 Over The Top을 의미합니다. 기존 가정 등에서 디지털 방송 등 디지털 신호 수신을 위하여 사용하고 있 는 장치인 셋톱박스(Set Top Box)에서 유래한 용어입니다. 최근에는 셋톱박스의 유무를 떠나 개방형 인터넷 기반의 동영상 서비스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서비스)는 개방형 인터넷망을 통한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인터넷을 통하여 영상 등의 콘텐츠 를 시청자에게 실시간 혹은 비실시간으로 전달한다는 측면에서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과 구별됩니다. TV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기(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를 통하여 시청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IPTV 서비스와도 구별됩니다.






2. OTT의 수익모델


OTT 서비스의 수익모델은 월정액 기반의 구독형 VOD, 단건형 VOD 판매 및 대여, 광고수익 등으로 구분됩니다. 다수의 OTT 서 비스는 구독과 단건형 요금제를 동시에 제공하는 형태를 택하고 있습니다.


구독형은 가입자가 주로 월간 단위로 정해 진 일정 금액의 요금을 지불하고 무제한으로 동영상을 이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VOD 판매 및 대여형은 영화, 드라마, 방송프로그램 등 동영상을 단 건으로 판매하거 나 대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수익을 기반으로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광고수익은 일반적 으로 동영상 시청 전, 후, 중간에 다양한 길이의 광고영상을 삽입하는 형태로 발생하는데, 유저 제작 콘텐츠 기반 동영상 플랫폼이 주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3. OTT 서비스 시장 현황


최근 인터넷 통신망의 발달, 스마트 기기 보급률 증가 등 기술 환경의 변화와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문화 확산으로 OTT 서비스 시장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19 이전에는 글로벌 OTT 서비스의 시장규모가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약 13.8%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 코로나 19 발생 이후에는 예상보다 빠른 연평균 약 26.4%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국내 OTT 서비스 시장 또한 빠르게 성장하 여 시장규모가 2014년 1,926억 원에서 2020년에는 7,801억 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내에서는 2000년대 초 지상파 방송사들이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VOD 서비 스를 제공하면서 VOD 서비스 시장이 발전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후, 2010년 CJ헬로비전 이 '티빙(Tving)', 2011년 현대 HCN이 실시간 채널 위주의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2011년 통신사업자가 IPTV를 모바일 앱으로 서비스하기 시작했으며 이어, 2012년 지상파 3사가 만든 'POOQ', 2016년 '왓챠(watcha)', 2019년 지상파 3사와 SKT가 만든 '웨이브(wavve)', KT의 '시즌 '등의 서비스가 출시되었습니다.


한편, 대표적 글로벌 OTT 서비스 운영회사인 유튜브와 넷플릭스는 국내에 각각 2008년과 2016년에 진출하였습니다. 디즈니 플러스는 2021년 하반기에 국내에 진출하였습니다.







4. OTT 서비스 사용자 수 및 이용경험율(2020년 기준)

(단위: 만 명, %)

사업자명서비스명사용자수유무료 전체 이용경험율유료 서비스 이용경험율
구글유튜브 3,300 65.8 6.5
넷플릭스 넷플릭스 46718.7 18.7
SKT 웨이브 272 3.2 1.6







5. 국내 OTT 서비스 시장의 변화


OTT 서비스 시장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해 소비자의 영상시청 방식 또한 변화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OTT 서비스로 인하여 기존의 유료방송을 해지하거나, 더 낮은 요금제를 선택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유료방송 가입자 수는 정체되고 있으나, OTT 서비스 가입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의 경우 OTT 서비스인 넷플릭스의 가입자 수가 케이블 방송의 가입자 수를 넘어서고 있는 추세입니다. 국내 시장의 경우에는 유료방송 요금제가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코드커팅 현상 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최근 소비자의 영상 소비행태의 변화로 유료방송 가입자 수의 증가 폭이 크지 않은 반면, OTT 서비스 이용률은 2017년 36.1%에서 2019년에는 52%, 2020년에는 66.3%로 크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편, 2020년 기준 국내 OTT 사용자 수는 유튜브 3,300만 명, 넷플릭스 467만 명, 웨이브가 272만 명으로 추정됩니다. 한편, OTT 서비스 이용 여부 자료조사 결과 유튜브(65.8%), 넷플릭스(18.7%), 네이버 TV(10.3%) 순으로 이용 중인 것으로 파악 되며, 유료서비스를 기준으로 할 경우 넷플릭스(18.7%), 유튜브(6.5%), 웨이브(1.6%) 순으로 이용 중인 것으로 파악되어 유튜브와 넷플릭스가 유·무료 OTT 서비스 시장 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댓글

가장 많이 찾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