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의 원리와 소화 방법 | 제거소화 vs 질식소화 vs 냉각소화 차이점은? | 어떤 소화방법을 써야 하는지?

소화기란?

소화기는 불을 진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소화기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소화기 종류는 각각의 특징이 있고, 화재 유형에 따라 적합한 소화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소화기를 사용하기 전에 항상 적절한 교육을 받고 안전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소화기구란 소방대상물의 방호공간, 장치, 설비 등에서 화재가 발생 할 경우 초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가장 간편한 기구로서 물 또는 소화약제를 이용하여 사람이 직접 조작하거나 자동으로 약제를 방출 할 수 있는 기구를 말합니다.



○ 화재소화기:  압축가스나 분진, 알카리 또는 수증기를 사용하여 불을 진정시킵니다.

○ 가스소화기: 가스 중의 산소 농도를 줄여 불을 진정시킵니다.

○ 스팀 소화기: 높은 온도와 압력의 스팀을 사용하여 불을 진정시킵니다.

○ 화학소화기: 화학적인 반응을 이용하여 불을 진정시킵니다. 




관련 법조항 

▶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약칭 : 소방시설법) 

▶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국민 안전처 고시)










소화기의 구조


소화기에는 게이지, 안전핀, 소화기 호스가 붙어 있습니다. 이러한 부착물의 기능을 알아야 소화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게이지

지시 압력계가 부착되어 있어 내부 압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게이지가 작동하면 별도의 점검이 필요 없습니다. 


2. 안전핀 

안전핀 분실방지 봉인끈은 사용 직전에 제거합니다. 미리 제거시 안전핀이 쉽게 분리됩니다. 안전핀이 분리되면 압불량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3. 소화기 호스 

분말액이 분사 되는 곳입니다. 호스걸이가 고정되어 있어야 호스의 이탈을 막을 수 있습니다.










소화기 사용법은?











화재의 종류


일반화재


목재, 섬유류, 종이, 나무 플라스틱처럼 다 타고 난 이후에 재를 남기는 화재를 말하며 이런 화재를 일반화재 또는 보통화재라고 합니다. 연소 후 재를 남기는 종류의 화재로서 가장 일반적인 화재입니다. 나무, 종이 섬유 등의 가연물  화재가 이에 속합니다.


유류화재


휘발유 또는 석유와 같이 불에 타기 쉬운 가연성 액체는 프로판 가스와 같은 가연성 가스 류 화재 또는 가스 화재라고 합니다. 연소 후 재를 남기지 않는 종류의 화재입니다. 유류, 가스등의 가연성 액체나 기체 등의 화재가 이에 속합니다. 


전기 화재


변압기, 전기다리미, 두꺼비집 등 전기기구에 전기가 통하고 있는 기계나 기구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말합니다. 전기설비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로서 수변전 설비, 전선로(電線路)의 화재가 이에 속합니다.


금속 화재

마그네슘, 티타늄, 지르코늄, 나트륨, 칼륨 등의 가연성 금속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말합니다. 금속 또는 금속분에서 발생하는 화재로서 이는 다른 화재에 비해 발생빈도는 높지 않습니다.  단체(單體)금속의 자연발화, 금속분에 의한 분진폭발 등의 화재가 이에 속합니다.







화재의 종류와 소화 방법

화재의 종류소화 방법
보통 화재(일반 화재): A급 화재 A급 화재는 보통 물을 함유한 용액으로 냉각, 질식소화의 효과를 이용합니다.
유류화재: B급 화재 B급 화재는 포말, 분말약재를 사용하여 주로 질식소화의 효과를 이용합니다.
전기 화재: C급 화재C급 화재는 금수성(禁水性)화재이며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CO2, 할론(Halon), 분 말 등의 소화약제를 이용하여 질식, 냉각, 억제소화의 효과를 이용합니다.
금속 화재: D급 화재 D급 화재는 화재 시 높은 온도가 발생하며 냉각 시 장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소화 작업이 어려운 것이 특징입니다. 주수(注水)소화는 물에 의해 발열하므로 적응성이 없으며  건조사, 건조 규조토 등으로 소화합니다.




구분
수계소화약제
가스계소화약제
이산화 탄소
할론
분말
할로겐화합물
소화효과
냉각
질식, 냉각
질식
부촉매
부촉매, 질식
질식, 부촉매
소화속도
느림
느림
빠름
빠름
빠름
빠름
냉각효과
높음
높음
보통
낮음
매우낮음
낮음
재발화 위험
높진 않으나 가능성 있음
전혀없음
있음
있음
있음
있음
대응화재 규모
중형,대형
중형,대형
소형,중형
소형,중형
소형,중형
소형,중형
사용 후 주변 오염
높음
높음
전혀없음
전혀없음
높음
전혀없음
화재 적응성
A급
A,B급
B,C급
B,C급
A,B,C급
A,B,C급








소화기가 반드시 필요한 장소는?


건물 내: 건물 내의 위험한 재료 또는 장비, 전기장비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막기 위해서 건물 내에서 소화기가 필요합니다.

산업용 공장: 철물, 금속, 유기 화학 물질 등이 저장되고 처리되는 공장에서는 화재 발생 시 소화기가 필요합니다.

정원, 원예용 시설: 정원 또는 원예용 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막기 위해서 소화기가 필요합니다.

자동차 정비소: 자동차 정비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막기 위해서 소화기가 필요합니다.

항공우주 시설: 항공우주 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막기 위해서 소화기가 필요합니다.


댓글

가장 많이 찾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