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 렌트) 선납금과 보증금의 차이점 | 리스운영방식, 이자율의 차이
리스/렌트에서 '선납금', '보증금' 차이가 무엇인가요?
장기렌트와 리스를 알아본다면 보증금과 선납금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선납금과 보증금 모두 '계약 시 납입해야 하는 초기금액'이라는 점은 동일합니다.
다만 보증금은 계약만료시 돌려받을 수 있는 반면, 선납금은 돌려받지 못합니다.
선납금이란?
선납금은 말그대로 "월 납입료의 일부를 미리 납부하는 금액"입니다. 사람들이 리스나 장기렌트를 이용할때 차량가액에서 잔존가치를 빼고 나머지 금액을 나누어서 월 납입료를 내게 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선수금이라고도 하는 선납금을 안 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선납금을 내게 되면 10~30%정도를 선택해서 낼 수 있는데요, 우리가 낼 월 납입금을 줄이기 위해서 납입금의 일부를 먼저 내는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다만 주의해야할 점은 계약 종료 후에 돌려받을 수없는 금액이에요. 간단히 말해서 선납금이란 월마다 나가는 리스료, 렌트료를 줄이기 위해서 내는 것입니다.
미리 납부한 덕분에, 월 납입액이 상당히 낮아져서 고정지출 부담을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시중에는 이를 이용하여, '싼타페를 월 000,000원에 타세요!!'와 같은 광고가 있는데, 보통 선납금을 최대로 설정한 경우가 많습니다.
저렴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잘 따져보아야 합니다. 보증금이든 선납금이든 월 비용에는 이율이 붙습니다. 중요한 건 이게 모두 업체마다 다르기 때문에 가격비교를 많이 해야 합니다.
보증금이란?
보증금은 채무 담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계약 종료 시 돌려받는 금액입니다.
보증금은 계약만기시 돌려받으며(단, 일시불/할부상품은 보증금 적용이 불가합니다.), 이자를 낮추고 심사통과 가능성을 높여줍니다.
계약만기시 차량인수를 원한다면 보증금과 잔존가치를 동일하게(보통 30%)설정하셔서 인수비용을 최소화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