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식 영양성분 표시량 및 실제 함량 비교 | 단백질 함량 | 식약처




일부 이유식, 표시된 영양성분 함량이 실제와 달라, 병원성 미생물‧중금속 기준 적합, 일부 제품은 표시 개선 필요 




맞벌이 가구의 증가 등으로 이유식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최근 주문 당일 생산해 다음 날 배송받을 수 있는 이유식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이 소고기 이유식의 안전성 및 영양성분 함량을 조사한 결과, 일부 제품은 표시된 영양성분 함량과 실제 함량이 달라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19년) 1,468억원 → ('21년) 1,671억원 → ('22년) 1,996억원 추정(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21.)



조사대상의 45.8%, 표시된 영양성분 함량과 실제 함량에 차이


   조사대상 이유식 24개 제품을 확인해보니 탄수화물ㆍ단백질ㆍ지방 등의 영양성분 함량과 구성 비율이 다양했다. 아이의 성장단계에 맞춰 균형 있게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영양성분 함량과 표시된 함량 정보가 매우 중요하다.


 영유아기는 이유식을 통해 편식 예방 등 올바른 식습관을 확립하게 되는 시기로 과일 등 간식과 함께 다양한 음식을 섭취할 기회를 주는 것이 중요하며 여러 종류의 이유식을 경험하고 영양적 균형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함(보건복지부, 2014).




[ 제품별 영양성분 함량 ]

제품 수열량(kcal)탄수화물(g)단백질(g)지방(g)나트륨(mg)
6-11개월 대상 4개 제품61~15511~272~70.4~2.110~44
1일 3회 섭취 시183~46533~816~211.2~6.330~132
1일 영양성분 기준치*600901525370
1-2세 대상 20개 제품56~21810~37.552~80.7~58~140
1일 3회 섭취 시168~65430~112.656~242.1~1524~420
1일 영양성분 기준치*9001503530810

* 조사대상 24개 제품의 판매대상 연령은 9~15개월 사이로 1일 영양성분 기준치의 연령별 구분을 적용하면 6~11개월에 4개 제품, 1~2세에 20개 제품이 해당(「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식약처)」참고)



그러나 11개 제품(45.8%)은 표시된 영양성분 함량과 실제 함량의 차이가 기준범위*를 벗어났고, 그중 10개 제품은 영유아기의 성장과 발육에 중요한 단백질 함량이 표시량의 40~75%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식품등의 표시기준」에 따라 탄수화물, 단백질의 실제 측정값은 표시량의 80% 이상, 지방과 나트륨의 실제 측정값은 표시량의 120% 미만이어야 함.




[ 영양성분 표시량 및 실제 함량 비교 ]

제품명판매원성분표시량측정값표시량 대비 측정값
한우수수무른밥㈜닥터리의로하스밀탄수화물17g12g71%
단백질5g2g40%
지방0.3g0.4g133%
한우파프리카진밥아이배냇㈜단백질8g5g63%
한우블루베리치즈진밥㈜베베쿡단백질9.75g6.91g71%
한우토마토리조또순수본㈜단백질14g8g57%
소고기모듬버섯무른밥㈜아이푸드탄수화물19g15g79%
단백질5g2g40%
한우짜짜진밥㈜에이치비에프앤비탄수화물28g21g75%
단백질7g5g71%
소고기흰콩진밥㈜짱죽단백질13.5g7.4g55%
블루베리한우진밥단백질8.2g4.1g50%
한우근대새송이버섯진밥롯데푸드㈜단백질8g6g75%
한우사과미역진밥㈜청담은단백질7g5g71%
한우밤무른밥㈜푸드케어탄수화물41g30g73%
나트륨14mg33mg236%





 전 제품 병원성 미생물 불검출, 일부 제품은 표시 개선 필요


  조사대상 24개 제품에 대해 병원성 미생물,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 검출 여부를 조사한 결과 모두 기준에 적합했다. 그러나 15개 제품(62.5%)은 온라인 판매페이지(12-13개월)와 제품에 표시(6-11개월)된 대상 연령이 다르거나, 성인의 1일 영양성분 기준치를 적용해 영양성분을 표시하고 있었다.




부적절한 표시(예시) 









댓글

가장 많이 찾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