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자 이주호 이력서, 경력, 평가
(출처 국무위원후보자(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 인사청문요청안)
○ 성 명 : 이주호 (李 周 浩)
○ 생년월일 : 1961년 2월 17일
1985년 2월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무역학과에서 경제학사, 동대학원 경제학석사, 1990년 8월 미국 코넬대학교에서 경제학박사를 취득 후, 1990년 국민경제제도연구원 책임연구위원으로 임용되었으며, 1998년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부교수․교수로 임용되어 현재 재직 중에 있음.
이력서 |
성 명 : 이 주 호 (李 周 浩) 생년월일 : 1961년 2월 17일 주 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29길 xx, xxx동 xxxx호 (압구정동, xxxxx) 직 업 1998. 1.~현재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교수 학 력 1976. 3.~1979. 1. 청구고등학교 졸업 1979. 3.~1983. 2. 서울대학교 무역학과 졸업(학사) 1983. 3.~1985. 2. 서울대학교 대학원(경제학석사) 1986. 7.~1990. 8. 미국 코넬대학교 대학원(경제학박사) 경 력 1990. 6.~1997. 12. 한국개발연구원(국민경제제도연구원) 책임연구원 및 연구위원 1996. 12.~1998. 12. 노동부 고용정책전문위원회 위원 1998. 1.~현재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교수 2000. 1.~2001. 12. 한국노동경제학회 노동경제논집 편집위원 2001. 6.~2003. 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자문위원 2001. 7.~2002. 8.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교무처장 2002. 1.~2004. 2.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학술위원 2003. 7.~2004. 5.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교육개혁연구소장 2004. 5.~2008. 3. 제17대 국회의원 2005. 1.~2008. 3. 한나라당 제5정책조정위원장 2006. 8.~2008. 8. 재단법인 여의도연구원 이사 2007. 12.~2008. 2. 제17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회교육문화분과 간사위원 2008. 3.~2008. 6. 대통령실 교육과학문화수석비서관 2009. 1.~2010. 8. 교육과학기술부 제1차관 2010. 8.~2013. 3.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2013. 5.~2018. 6. 한국개발연구원 지식경제연구부 겸임연구위원 2014. 9.~2018. 8. 한반도선진화재단 정책위원장 2015. 9.~2016. 4. 국회의장직속 미래전략자문위원회 위원 2015. 9.~현재 글로벌교육재정위원회 위원 2016. 5.~2022. 9. 학교법인 울산공업학원 이사 2019. 10.~2020. 6. 미국 브루킹스연구소 선임연구위원 2020. 4.~2022. 9. (사)아시아교육협회 이사장 2020. 9.~2021. 8. 미국 브루킹스연구소 선임연구위원 2021. 6.~2022. 9. (사)케이정책플랫폼 이사장 2022. 6.~2022. 7. 민선 5기 경기도교육감직인수위원회 위원장 병 역 1986. 2.~1986. 2. 육군 소위(복무만료) |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2007년 제17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회교육문화분과위원회 간사, 2008년 대통령실 교육과학문화수석비서관, 2009년 교육과학기술부 제1차관을 거쳐 2013년까지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을 역임하였으며, 2020년 4월부터 2022년 9월 29일까지 (사)아시아교육협회 초대 이사장으로 재임하였음.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 교육에 대한 애정과 철학, 뚜렷한 소신을 바탕으로 학문연구와 후학양성에 최선을 다했으며, 특히 학교교육 개혁 및 선진화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 및 저술활동 등을 통해 학교 교육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고 평가되고 있음.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으로 교육위원회 위원, 한나라당 제5정책조정위원회 위원장, 재단법인 여의도연구원 이사 등으로 활동하면서 교육 분야의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음.
교육과학문화수석비서관으로 재임하면서 교육선진화, 과학기술강국 건설을 위해 자율화ㆍ다양화된 교육체제 구축, 학교교육 만족도 제고, 교육복지 기반 확충, 과학기술 국가전략 수립, 대학․연구기관 핵심역량 강화, 세계일류 과학기술강국 구현 등 정부에서 추진하는 교육 및 과학기술 주요 정책들을 총괄․조정하는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였음.
교육과학기술부 제1차관 및 장관으로 재임하면서 고교 다양화, 학교정보공시, 학업성취도 및 교원능력개발평가 등 교육선진화, 한국장학재단 설립 및 대학졸업생 취업률 공시제도 도입을 통한 고등교육기회 확대 뿐만 아니라 창의적 과학기술 인재 양성, 미래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대학 및 출연(연) 협력강화 등 교육과 과학기술의 융합 정책을 적극 추진함으로써 교육과학기술부의 통합적 역량을 강화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사)아시아교육협회 초대 이사장으로 재임하면서 코로나19로 인한 소외계층학생의 교육격차를 적극 해소하기 위해 AI 코스웨어를 활용한 하이터치 하이테크(High Touch High Tech) 교수학습방법 등을 개발, 확산하는 노력도 하였음.
댓글
댓글 쓰기